지역 절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역 절멸은 특정 지역에서 종이 사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자연적인 요인으로는 빙하기, 섬에서의 종 멸종, 화산 폭발, 폭염 등이 있으며, 인위적인 요인으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등이 있다. 지역 멸종은 늑대와 같은 종의 재도입 연구에 활용되기도 하며, 멸종된 종의 개체군을 평가하는 데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생물학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역 절멸 | |
---|---|
정의 | |
지역 절멸 | 특정 분류군이 이전에 서식했던 지역에서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 현상. |
추가 정보 | |
설명 | 지역 절멸은 되돌릴 수 없는 전 지구적 멸종과는 다름. 해당 분류군은 다른 곳에서 여전히 생존할 수 있음. |
참고 | 지역 절멸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생물 다양성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관련 용어 | 보전생물지리학 |
2. 지역 멸종의 원인
지역 멸종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과학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베이 체크스팟 나비 연구에서 폴 R. 에를리히를 포함한 과학자들은 개체군 소멸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인위적인 개입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
바다악어와 같은 많은 악어 종들이 지역 멸종을 겪었다. 특히 바다악어(''Crocodylus porosus'')는 베트남, 태국, 자바 등 여러 지역에서 사라졌다.[7]
한편, 지역 멸종은 인위적으로 복원되기도 한다. 늑대는 역사적인 서식지에 재도입된 대표적인 종이다. 1980년대 후반 미국의 붉은 늑대(''Canis rufus'')와 1990년대 중반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회색 늑대 재도입이 성공적인 사례이다. 스코틀랜드, 일본, 멕시코 등에서도 늑대 재도입이 논의되고 있다.[10]
2. 1. 자연적 요인
빙하기는 지역 절멸을 초래하는 한 가지 요인이다.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제4기 빙하기 동안 북아메리카 토종 지렁이 종의 대부분이 빙하에 덮인 지역에서 죽었다. 이로 인해 유럽에서 흙과 함께 유입된 유럽 지렁이가 서식할 수 있게 되었다.[3]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이 멸종된다. 이는 해당 종이 다른 곳에서도 발견될 경우 지역 멸종일 수 있으며, 섬 고유종의 경우 완전한 멸종이 발생한다. 섬이 유지할 수 있는 종의 수는 지리적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많은 섬들이 플라이스토세 말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으며, 이 섬들은 본토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종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충분히 많은 섬에서 현재 생존하는 종의 수를 계산하면 식물이나 조류와 같은 특정 종의 그룹이 주어진 섬에서 주어진 기간 동안 그 크기에 따라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는 매개변수를 얻을 수 있다. 동일한 계산을 적용하여 자연 공원(여러 의미에서 '섬'), 산 정상, 메사, 숲 잔재 또는 기타 분포 패치에서 종이 사라질 시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또한 특정 종이 다른 종보다 멸종에 더 취약하며, 종은 고유한 멸종 가능성(발생 함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4][5]
일부 종은 웅덩이, 인간의 내장, 산불 후 타버린 삼림지 등 일시적이거나 교란된 서식지를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며, 이는 매우 변동하는 개체 수와 변화하는 분포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많은 자연 생태계는 표준 천이를 거치며, 개척종은 생태계가 성숙하고 극상림에 도달하면서 해당 지역에서 사라진다.
1980년 세인트헬렌스 산 폭발과 같은 화산 폭발은 많은 수의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양치류 급증 멸종으로 이어졌다.
폭염은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2017~2018년 여름 동안 해수면 온도가 사우스 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23°C를 초과했는데, 이는 정상보다 훨씬 높았다. 기온 또한 30°C를 초과했다. 이러한 고온과 낮은 파고가 결합되어 불 켈프 (''Durvillaea'' spp.)가 파일 베이에서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8]
브라질 라구아 산타에 위치한 호수인 라고아 산타는 지난 150년 동안 지역 어류 종의 거의 70%를 잃었다. 여기에는 ''Acestrorhynchus lacustris'', ''Astyanax fasciatus'', ''Characidium zebra''가 포함된다. 이는 ''틸라피아 렌달리''와 같은 비토착종의 유입, 수위 변화 및 유기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9]
3. 지역 멸종의 사례
다양한 생물 종들이 지역 멸종을 겪었다.
빙하기는 지역 멸종을 초래하는 한 가지 요인이다. 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이 멸종되는데, 섬의 지리적 크기에 따라 유지될 수 있는 종의 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플라이스토세 말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많은 섬들이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으며, 이 섬들은 본토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종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부 종은 웅덩이, 인간의 내장, 산불 후 타버린 삼림지 등 일시적이거나 교란된 서식지를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며, 많은 자연 생태계는 표준 천이를 거친다. 개척종은 생태계가 성숙하고 극상림에 도달하면서 해당 지역에서 사라진다.
지역 멸종은 베이 체크스팟 나비의 경우처럼, 한 지역에서 개체군이 사라지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과학자들이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경우가 있어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6]
1980년 세인트헬렌스 산 폭발과 같은 화산 폭발이나[8] 폭염 또한 지역 멸종의 원인이 된다.[9]
어떤 경우에는 늑대와 같이 인위적으로 지역 멸종을 되돌릴 수 있다.[10]
3. 1. 동물
빙하기는 지역 멸종을 초래하는 한 가지 요인이다.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제4기 빙하기 동안 북아메리카 토종 지렁이 종의 대부분이 빙하에 덮인 지역에서 죽었고, 이로 인해 유럽에서 흙과 함께 유입된 유럽 지렁이가 서식할 수 있게 되었다.[3]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이 멸종된다. 이는 해당 종이 다른 곳에서도 발견될 경우 지역 멸종일 수 있으며, 섬 고유종의 경우 완전한 멸종이 발생한다. 섬이 유지할 수 있는 종의 수는 지리적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많은 섬들이 플라이스토세 말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으며, 이 섬들은 본토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종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4]
일부 종은 웅덩이, 인간의 내장, 산불 후 타버린 삼림지 등 일시적이거나 교란된 서식지를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며, 이는 매우 변동하는 개체 수와 변화하는 분포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많은 자연 생태계는 표준 천이를 거치며, 개척종은 생태계가 성숙하고 극상림에 도달하면서 해당 지역에서 사라진다.
지역 멸종은 연구에 유용할 수 있다. 베이 체크스팟 나비의 경우, 폴 R. 에를리히를 포함한 과학자들은 한 지역에서 개체군이 사라지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
많은 악어 종이 지역 멸종을 경험했다. 특히 바다악어 (''Crocodylus porosus'')는 베트남, 태국, 자바 및 기타 여러 지역에서 제거되었다.[7]
화산 폭발과 같은 주요 환경 사건은 1980년 세인트헬렌스 산 폭발과 같이 많은 수의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양치류 급증 멸종으로 이어졌다.
폭염은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2017~2018년 여름 동안 해수면 온도가 사우스 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23°C를 초과했는데, 이는 정상보다 훨씬 높았다. 기온 또한 높아 30°C를 초과했다. 이러한 고온과 낮은 파고가 결합되어 불 켈프 (''Durvillaea'' spp.)가 파일 베이에서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8]
브라질 라구아 산타에 위치한 호수인 라고아 산타는 지난 150년 동안 지역 어류 종의 거의 70%를 잃었다. 여기에는 ''Acestrorhynchus lacustris'', ''Astyanax fasciatus'', ''Characidium zebra''가 포함된다. 이는 ''틸라피아 렌달리''와 같은 비토착종의 유입, 수위 변화 및 유기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9]
지역 멸종은 어떤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늑대는 역사적인 서식지 일부로 재도입된 종이다. 이는 1980년대 후반 미국의 붉은 늑대 (''Canis rufus'')와 1990년대 중반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회색 늑대에서도 발생했다. 스코틀랜드, 일본, 멕시코에서 늑대를 재도입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10]
3. 2. 식물
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이 멸종한다. 이는 해당 종이 다른 곳에서도 발견될 경우 지역 멸종일 수 있으며, 섬 고유종의 경우 완전한 멸종이 발생한다. 섬이 유지할 수 있는 종의 수는 지리적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많은 섬들이 플라이스토세 말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으며, 이 섬들은 본토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종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통계적으로 충분히 많은 섬에서 현재 생존하는 종의 수를 계산하면 식물이나 조류와 같은 특정 종의 그룹이 주어진 섬에서 주어진 기간 동안 그 크기에 따라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는 매개변수를 얻을 수 있다.[4][5]많은 자연 생태계는 표준 천이를 거치며, 개척종은 생태계가 성숙하고 극상림에 도달하면서 해당 지역에서 사라진다.
폭염은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2017~2018년 여름 동안 해수면 온도가 사우스 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23°C를 초과했는데, 이는 정상보다 훨씬 높았다. 기온 또한 높아 30°C를 초과했다. 이러한 고온과 낮은 파고가 결합되어 불 켈프 (''Durvillaea'' spp.)가 파일 베이에서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8]
3. 3. 어류
브라질 라구아 산타에 위치한 호수인 라고아 산타는 지난 150년 동안 ''Acestrorhynchus lacustris'', ''Astyanax fasciatus'', ''Characidium zebra''를 포함하여 지역 어류 종의 거의 70%를 잃었다. 이는 ''틸라피아 렌달리''와 같은 비토착종의 유입, 수위 변화 및 유기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9]4. 부분모집단 (Subpopulations)
특정 종의 지역 개체군이 특정 지리적 경계에서 사라지는 경우, 마르는 연못의 물고기나 전체 바다에 관계없이 해당 연못이나 바다에서 지역적으로 절멸되었다고 할 수 있다.
특정 총 세계 개체군은 정치적 또는 기타 지리적 경계에 의해 정의되는 '개체군' 또는 '아개체군'으로 다소 임의적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고래류 전문가 그룹은 6개국에 걸쳐 있는 흑해 상괭이(''Phocoena phocoena'') 개체군의 보존 상태를 평가했으며, 캐나다의 야생 동물 보존 상태만 평가하는 COSEWIC는 미국 또는 기타 국가에 서식하는 캐나다 종까지 평가한다.
IUCN은 주로 종 또는 아종의 전 세계적인 보존 상태만 평가하지만, 일부 오래된 경우에는 특정 개체군 및 아개체군에 대한 위험도 평가했으며, 경우에 따라 이러한 개체군은 유전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2006년에는 IUCN에서 69종에 걸쳐 총 119개의 개체군 또는 아개체군을 평가했다.[11] 지역 개체군이 멸종되면 종 전체가 멸종된 것은 아니지만 해당 지역에서 절멸된 것이다.
IUCN이 보존 상태를 별도로 평가한 세계 개체군의 개체군 및 세부 분류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늪사슴(세 개체군 평가)
- 대왕고래, 북태평양 및 북대서양 개체군
- 북극고래, ''Balaena mysticetus'' (심각한 위기종에서 LR/cd까지 5개 개체군 평가)
- 호수 철갑상어, ''Acipenser fulvescens'', 미시시피 & 미주리 분지 개체군 취약으로 평가
- 야생 잉어, ''Cyprinus carpio'' (다뉴브강 분포)
- 검은옆구리바위왈라비 ''Petrogale lateralis'' (맥도넬 산맥 개체군 및 웨스턴 킴벌리 개체군)
IUCN은 또한 평가된 종, 아종 또는 지리적 개체군이 발견되는 국가와 절멸되거나 재도입된 국가를 나열한다.
5. 지역 멸종과 보전 노력
빙하기는 지역 멸종의 한 요인이다. 제4기 빙하기 동안 북아메리카 토종 지렁이 대부분이 빙하에 덮인 지역에서 죽고, 유럽에서 유입된 지렁이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3]
섬은 크기에 따라 유지할 수 있는 종의 수가 제한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이 멸종될 수 있다. 플라이스토세 말 해수면 상승으로 형성된 섬들은 본토와 같은 종을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특정 종의 생물 다양성 감소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자연 공원, 산 정상, 숲 잔재 등에서도 종의 멸종 시기를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4][5]
웅덩이, 산불 피해 지역 등 일시적 서식지를 이용하는 종들은 개체 수 변동이 크고 분포 패턴이 변화한다. 많은 생태계는 천이를 거치며, 개척종은 생태계가 성숙하면서 사라진다.
지역 멸종은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베이 체크스팟 나비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개체군 소멸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개입하지 않았다.[6]
바다악어 (''Crocodylus porosus'')는 베트남, 태국, 자바 등 여러 지역에서 사라졌다.[7]
1980년 세인트헬렌스 산 폭발과 같은 화산 폭발은 양치류 급증 멸종과 같이 대규모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2017~2018년 여름 해수면 온도 상승과 낮은 파고로 인해 파일 베이에서 불 켈프 (''Durvillaea'' spp.)가 지역적으로 멸종했다.[8]
브라질 라구아 산타의 라고아 산타 호수는 지난 150년 동안 ''Acestrorhynchus lacustris'', ''Astyanax fasciatus'', ''Characidium zebra'' 등 어류 종의 약 70%를 잃었다. 이는 틸라피아 렌달리와 같은 외래종 유입, 수위 변화, 유기 오염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9]
늑대는 재도입을 통해 지역 멸종을 되돌린 대표적인 사례이다. 미국의 붉은 늑대(''Canis rufus'')와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회색 늑대가 재도입되었으며, 스코틀랜드, 일본, 멕시코 등에서도 재도입이 논의되고 있다.[10]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종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며, 일부 종의 경우 특정 개체군에 대한 위험도 평가한다. 예를 들어, 흑해 상괭이(''Phocoena phocoena'') 개체군, 캐나다의 야생 동물 보존 상태를 평가하는 COSEWIC 등이 있다. IUCN은 2006년에 69종에 걸쳐 119개의 개체군 또는 아개체군을 평가했다.[11]
IUCN이 보존 상태를 별도로 평가한 개체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6. 연구 사례
빙하기는 지역 멸종을 초래하는 한 가지 요인이다.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제4기 빙하기 동안 북아메리카 토종 지렁이 종의 대부분이 빙하에 덮인 지역에서 죽었다. 이로 인해 유럽에서 흙과 함께 유입된 유럽 지렁이가 서식할 수 있게 되었다.[3]
섬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이 멸종된다. 이는 해당 종이 다른 곳에서도 발견될 경우 지역 멸종일 수 있으며, 섬 고유종의 경우 완전한 멸종이 발생한다. 섬이 유지할 수 있는 종의 수는 지리적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많은 섬들이 플라이스토세 말 기후 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비교적 최근에 형성되었으며, 이 섬들은 본토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종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충분히 많은 섬에서 현재 생존하는 종의 수를 계산하면 식물이나 조류와 같은 특정 종의 그룹이 주어진 섬에서 주어진 기간 동안 그 크기에 따라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는 매개변수를 얻을 수 있다. 동일한 계산을 적용하여 자연 공원(여러 의미에서 '섬'), 산 정상, 메사(스카이 아일랜드 참조), 숲 잔재 또는 기타 분포 패치에서 종이 사라질 시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연구는 또한 특정 종이 다른 종보다 멸종에 더 취약하며, 종은 고유한 멸종 가능성(발생 함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4][5]
일부 종은 웅덩이, 인간의 내장, 산불 후 타버린 삼림지 등 일시적이거나 교란된 서식지를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며, 이는 매우 변동하는 개체 수와 변화하는 분포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많은 자연 생태계는 표준 천이를 거치며, 개척종은 생태계가 성숙하고 극상림에 도달하면서 해당 지역에서 사라진다.
지역 멸종은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베이 체크스팟 나비의 경우, 폴 R. 에를리히를 포함한 과학자들은 한 지역에서 개체군이 사라지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6]
많은 악어 종이 지역 멸종을 경험했다. 특히 바다악어 (''Crocodylus porosus'')는 베트남, 태국, 자바 및 기타 여러 지역에서 제거되었다.[7]
화산 폭발과 같은 주요 환경 사건은 1980년 세인트헬렌스 산 폭발과 같이 많은 수의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양치류 급증 멸종으로 이어졌다.
폭염은 지역 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 뉴질랜드에서는 2017~2018년 여름 동안 해수면 온도가 사우스 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23°C를 초과했는데, 이는 정상보다 훨씬 높았다. 기온 또한 높아 30°C를 초과했다. 이러한 고온과 낮은 파고가 결합되어 불 켈프 (''Durvillaea'' spp.)가 파일 베이에서 지역적으로 멸종되었다.[8]
브라질 라구아 산타에 위치한 호수인 라고아 산타는 지난 150년 동안 지역 어류 종의 거의 70%를 잃었다. 여기에는 ''Acestrorhynchus lacustris'', ''Astyanax fasciatus'', ''Characidium zebra''가 포함된다. 이는 ''틸라피아 렌달리''와 같은 비토착종의 유입, 수위 변화 및 유기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9]
지역 멸종은 어떤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늑대는 역사적인 서식지 일부로 재도입된 종이다. 이는 1980년대 후반 미국의 붉은 늑대 (''Canis rufus'')와 1990년대 중반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회색 늑대에서도 발생했다. 스코틀랜드, 일본, 멕시코에서 늑대를 재도입하는 방안이 논의되었다.[10]
참조
[1]
서적
Conservation Biogeograph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11
[2]
간행물
Is extinction forever?
2015-01-14
[3]
간행물
Miscellanea Megadrilogica
http://dx.doi.org/10[...]
1949-05
[4]
간행물
Biogeographic Kinetics: Estimation of Relaxation Times for Avifaunas of Southwest Pacific Islands
http://jareddiamond.[...]
2021-11-21
[5]
간행물
The Island Dilemma: Lessons of Modern Biogeographic Srudies for the Design of Natural Reserves
http://jareddiamond.[...]
2021-11-21
[6]
웹사이트
Local extinction
http://darwin.eeb.uc[...]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Bay Checkerspot Butterfly
2006-08-11
[7]
서적
Saltwater Crocodile Crocodylus porosus
https://d1wqtxts1xzl[...]
Crocodiles
[8]
간행물
Local Extinction of Bull Kelp (Durvillaea spp.) Due to a Marine Heatwave
2019-03
[9]
간행물
Local fish extinction in a small tropical lake in Brazil
2003-12
[10]
간행물
Boundaries of the wolf and the wild: a conceptu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wilding and animal reintroduction
https://onlinelibrar[...]
2016
[11]
웹사이트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12]
웹사이트
지역적색목록 범주
http://www.koreared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